기조연설 #1: (발표시간: 09:00~09:25, 2020년 12월 16일)
Mike Davies
Director, Neuromorphic Computing Lab, Intel Labs, USA
Title: Advancing Neuromorphic Computing from the Lab to Mainstream Applications
BIOGRAPHY |
Mike Davies is Director of Intel’s Neuromorphic Computing Lab. His group researches brain-inspired architectures, algorithms, software, and systems. He has fabricated several neuromorphic chip prototypes to date including Loihi. Mike joined Intel through the acquisition of Fulcrum Microsystems. As a founding employee and director of Fulcrum’s silicon engineering, Mike pioneered high performance asynchronous design methodologies as applied to several generations of industry-leading Ethernet switch products.
ABSTRACT |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s have provided breakthroughs in AI in the form of near-human levels of data perception in many problem domains. Neuromorphic computing aims to take this a step further – chips directly inspired by the form and function of biological neural circuits so they can process new knowledge, adapt, behave, and learn in real-time at extremely low power levels. After several decades of research, this technology is now reaching maturity. Today, leading neuromorphic research chips such as Intel’s Loihi have a growing body of results showing quantitative gains compared to conventional architectures. This talk will share an overview of Loihi and results to date suggesting a roadmap of disruption spanning edge to datacenter computing applications.
기조연설 #2. (발표시간: 09:25~09:50, 2020년 12월 16일)
최창규
전무, 종합기술원 AI&SW센터, 삼성전자
Title: Future of AI Semiconductors
BIOGRAPHY |
- 1987. 3. ~ 1999. 2.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
- 1998. 10.Best Paper Award (KACC 학회)
- 1999. 10. ~ 2014. 12.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 2010. 5.Distinguished Paper Award (SID 학회)
- 2011. 3. ~ 2014. 12.삼성전자 종합기술원 Research Master
- 2012. 1.Best Oral Paper Award (IEEE ICCE 학회)
- 2013. 7. ~ 2014. 6.Visiting Scholar (Imperial College London)
- 2014. 12. ~ 2020. 12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상무 (Computer Vision Lab長)
- 2020. 12. ~ 현재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무 (AI&SW센터)
- 2018. 11.대한민국 산업포장 수상 (제19회 SW산업인의 날 시상)
ABSTRACT |
2000년대에 들어 이루어지고 있는 AI 알고리즘의 혁신으로 인해 AI 기술은 세 번째 부흥기를 맞고 있다. 영상 인식과 음성 인식 분야 주요 Challenge에서 대폭의 성능 향상을 이룬 이후,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AI 모델의 크기가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다. 인간이 기록을 남기고 지식을 축적하는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의 AI 성능 향상은 앞으로 더 많은 응용 분야에서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AI 기술의 혁신은 무어의 법칙 둔화로 성능 향상이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세서나 메모리를 생산하는 HW 업체에 큰 기회이다. 코로나 판데믹으로 인한 대규모 컴퓨팅 자원의 급격한 수요 증가는 포스트 판데믹 시대에도 여전히 큰 힘을 발휘할 전망이다. 본 강연을 통하여, Datacenter, Mobile 및 IoT 분야에서 AI 반도체에 어떠한 기회 요인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각 분야에서의 도전 과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하여 AI 반도체의 미래를 조망해 본다.
기조연설 #3. (발표시간: 09:50~10:15, 2020년 12월 16일)
박기은
CTO(기술총괄책임자), 네이버 클라우드㈜
Title: 네이버 클라우드는 왜 인공지능 반도체에 관심이 있을까?
BIOGRAPHY |
- 1995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 컴퓨터공학과 데이터베이스 전공
- 2006.7~2011.12 NHN (NAVER 이전 사명) / 서비프플랫폼개발센터 / 팀장
- 2012.1~2014.7 NAVER Business Platform (NBP) (NAVER IT 담당 독립 법인) / IT사업본부 IT서비스센터 / 수석 부장, 수석 아키텍트
- 2014.8~현재 NAVER Cloud (NBP에서 사명 변경) / CTO, 기술총괄 책임리더(전무)
- NAVER Cloud의 CTO로서 IT,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6년에 NAVER에 합류하여 서비스 플랫폼과 인프라 기술에 대한 기술 펠로우(Technical Fellow)를 역임하였습니다. 현재 NAVER Cloud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와 기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NAVER는 국내 1위 온라인 서비스 업체로 AI, 로봇, 클라우드 기술의 연구개발(R&D)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글로벌 클라우드 리전 6곳과 160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상품을 보유한 국내 대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입니다.
ABSTRACT |
검색을 비롯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가 다양한 기술 플랫폼 영역에 도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과 플랫폼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 생활과 산업에 적용되는 여러 인공지능 기술 활용 서비스와 솔루션들은 결국은 데이터센터에서 운영되므로 인공지능 반도체의 커다란 수요 중의 한 축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는 춘천 각 데이터센터와 세종 각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국내 최대의 IT인프라를 운영하며 다양한 내부의 기술들을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형태 제공하는 B2B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와 플랫폼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인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입장에서 인공지능 반도체를 비롯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점은 무엇이며, 네이버 온라인 서비스에 적용할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한다는 직접적인 사용 용도 보다도 더 범위가 넓은 클라우드 서비스 상품으로써의 인공지능 하드웨어 사용 용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내 인공지능 반도체 업계에 대한 기대감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